266 0 0 19 15 0 6년전 0

홍도화(외)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 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 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 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 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1) 애국계몽기(1905~1910)
<잠상태岑上苔〉,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1906. 11~1907. 4 (미완의 한문소설).
<고목화枯木花〉, 《제국신문帝國新聞》, 1907. 6. 5~10. 4, 박문서관博文書館, 1908.
<빈상설빔上雪>, 《제국신문》, 1907. 10. 5~1908. 2. 12, 광학서포廣學書舖, 1908.
<원앙도鴛鴦圖〉, 《제국신문》, 1908. 2. 13~4. 24, 중앙서관中央書館, 1909.
<화성돈전華盛頓傳〉, 회동서관滙東書館, 1908(번역 전기).
<구마검驅魔劍〉, 《제국신문》, 1908. 4. 25~7. 23, 대한서림大韓書林, 1908.
<홍도화紅桃花>(상), 《제국신문》, 1908. 7. 24~9. 17, 유일서관唯一書館, 1908.
<만월대滿月臺〉, 《제국신문》, 1908. 9. 18~12. 3, 동양서원東洋書院, 1910.
<철세계鐵世界〉, 회동서관, 1908(번역소설).
<쌍옥적雙玉笛〉, 《제국신문》, 1908. 12. 4~1909. 2. 12, 보급서관普及書館, 1911.
<모란병牧丹屛〉, 《제국신문》, 1909. 2. 13~?, 박문서관, 1911.
<현미경顯微鏡〉, 《대한민보大韓民報》, 1909. 6. 15~7. 11(단편소설).
<박정화薄情花〉, 《대한민보》, 1910. 3. 10~5. 31, 유일서관 1912(출간하면서 ‘산천초목山川草木’으로 개제).
<홍도화>(하), 유일서관, 1910.
<자유종自由鐘>, 광학서포, 1910.

2) 식민지시대
<화세계花世界〉, 《매일신보》, 1910. 10. 12~1911. 1. 17, 동양서원, 1911.
<월하가인月下佳人〉, 《매일신보》, 1911. 1. 18~4. 5, 보급서관, 1911.
<화花의혈血〉, 《매일신보》, 1911. 4. 6~6. 21, 보급서관, 1911.
<구의산九疑山〉, 《매일신보》, 1911. 6. 22~9. 28, 신구서림新舊書林, 1912.
<소양정昭陽亭〉, 《매일신보》, 1911. 9. 30~12. 17, 신구서림, 1912.
<춘외춘春外春〉, 《매일신보》, 1912. 1. 1~3. 14, 신구서림, 1912.
<옥중화獄中花〉, 《매일신보》, 1912. 1. 1~3. 16, 박문서관, 1912.
<탄금대彈琴臺〉, 《매일신보》, 1912. 3. 15~5. 1, 신구서림, 1912.
<강상련江上蓮〉, 《매일신보》, 1912. 3. 17~4. 16, 광동서국光東書局, 1912.
<연燕의각脚〉, 《매일신보》, 1912. 4. 29~6. 7, 신구서림, 1913.
<소학령巢鶴嶺〉, 《매일신보》, 1912. 5. 2~7. 6, 신구서림, 1913.
<토兎의간肝〉, 《매일신보》, 1912. 6. 9~7. 11, 박문서관, 1916.
<봉선화鳳仙花〉, 《매일신보》, 1912. 7. 7~11. 29, 신구서림, 1913.
<비파성琵琶聲〉, 《매일신보》, 1912. 11. 30~1913. 2. 23, 신구서림, 1913.
<우중행인雨中行人〉, 《매일신보》, 1913. 2. 25~5. 11, 신구서림, 1913.
<누구의 죄〉, 보급서관, 1913(번역소설).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 신구서림, 1914(시조와 가사歌詞 선집).
<홍장군전洪將軍傳〉, 오거서창五車書廠, 1918(역사소설).
<한씨보응록韓氏報應錄〉, 오거서창, 1918(역사소설).
<구미호九尾狐〉, 덕흥서림德興書林, 1922.
<강명화실기康明花實記〉, 회동서관, 1925.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