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겙姸쫨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만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 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 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2004년 4월
범우비평판 한국문학 편집위원회 임헌영·오창은
1894년
8월 10일, 충북 진천군 진천면(읍) 벽암리 수암부락(숫말)에서 양주 본관인 아버지 조병행趙秉行과 어머니 연일 정鄭씨 사이의 4남 3여 중 부친 나이 칠순에 막내아들로 태어났음. 어릴 때 애칭은 칠석七夕.
1898년
3월 13일, 다섯 살 때에 부친 별세. 진천 성공회에서 세운 신명학교에서 초등학교 과정을 마침.
1907년
열네살 때 고향에서 여흥 민씨(閔植)와 혼인.
1910년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함.
1914년
북경사관학교에 입학하려는 목적으로 가출해서 북경행 열차를 타고 가던 중 평양에서 둘째 형에게 붙잡혀 실패함.
1915년
11월 3일, 충북 진천 벽암리에서 장녀(重淑) 태어남.
1919년
3월, 3·1운동에 참가했다는 혐의로 체포·투옥되었다가 몇 달 후 출옥함.
9월, 일본 동경 동양대학 인도철학 윤리과에 입학함.
1920년
동경에서 김우진 등과 함께 ‘극예술협회’를 창립.
12월 12일, 충북 진천 벽암리에서 차녀(重男) 태어남.
1921년
7월, 희곡 〈김영일의 사〉를 발표.
7월 18일, ‘동우회’순회 연극단으로〈김영일의 사〉 등을 공연하며 전국을 순회.
1923년
2월, 창작 희곡집 《김영일의 사》를 동양서원에서 출판함.
봄, 경제사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학졸업 전에 귀국.
1924년
6월 10일, 서울 권농동에서 장남 중락重洛 태어남. 1924~1925 《시대일보》 기자.
6월 15일, 시집 《봄 잔듸밧 위에》를 춘추각에서 출간.
1925년
2월 1일, 《개벽》에 첫 단편소설 〈땅 속으로〉를 발표.
8월, ‘카프’ 결성시 창립 회원으로 가입, 활동.
1927년
연극단체 ‘불개미극단’조직.
7월 1일, 《조선지광》에 대표작 〈낙동강〉을 발표함.
7월 20일, 서울 채부동에서 차남(重潤) 태어남.
1928년
소설집 《낙동강洛東江》을 백악출판사에서 출간. 소설집 《낙동강》과 이기영의 《민촌 소설집》의 공동 출판 기념식을 청량사에서 가짐.
8월 21일, 서른다섯 살 때에 소련으로 망명, 블라디보스보크(해삼) 신한촌 등에서 지냄.
10월, 산문시 〈짓밟힌 고려〉를 발표.
1929년
륙성촌에 거주.
11월 3일, 모친 연일 정씨 지천에서 별세.
1930년
9월, 륙성농민청년학교 조선어교사를 지냄.
1931년
봄, 황명희(마리아)와 재혼, 우스리스크로 이사. 조선사범학교 조선어문학 교사.
1932년
1월 20일, 둘째 부인의 장녀 선아 태어남(조 왈렌찌나 명희예브나).
1933년
2월 2일, 둘째 부인의 장남 선인 태어남(조 미하일 명희예비치).
1934년
8월 10일, 파제예프 추천으로 소련작가동맹 맹원으로 가입. 연해주의 신문 《선봉》의 문학 편집자로 일함.
1935년
봄, 하바로프스크로 이사. <작가의 집>에 거주(꼼쏘몰스카야 거리52호). 조선사범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1936년
소련작가동맹 원동 지부에서 간사로 활동함. 《선봉》신문에 <문예페지>안을 만들고 작품집 《노력자의 조국》의 주필로서 고려문학 건설에 힘씀.
1937년
8월 12일, 둘째 부인의 차남 블라지미르 태어남 (조 블라지미르 명희예비치).
9월 18일, 소련 기관원 KGB에 체포됨.
1938년
4월 15일, 일제의 첩자라는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음.
5월 11일, 하바로브스크 감옥에서 45세에 총살형을 당함.
1956년
7월 20일, 극동군 관구 군법회의는 1938년 4월 15일의 결정을 파기, 무혐의로 처리하고 복권시킴.
1959년
12월 10일, 《조명희 선집》을 ‘조명희 문학유산위원회’ 주관으로 소련과학원 동방도서출판사에서 출간.
1988년
12월 10일, ‘조명희 기념실’이 타슈켄트의 알리세르 나보이 문학박물관에 설립됨.
1992년
5월 21일, 타슈켄트 벡쩨미르 지역에 ‘조명희 거리’를 엶.
1994년
9월 10일, ‘탄생 100주년 기념 포석 조명희 문학제’가 진천에서 열리고, 생가터에 표지비가 세워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