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1 0 0 15 6 0 4년전 0

나는 왕이로소이다(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만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 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 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2004년 4월
범우비평판 한국문학 편집위원회 임헌영・오창은
1900년 (1세) 음력 5월 17일 경기도 용인군 기흥면 농서리 용수골에서 아버지 대한제국통정대부 육군헌병 부위 홍철유洪哲裕, 어머니 능성綾城 구씨具氏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무관학교 1기생으로 합격함에 따라 서울 재동으로 이사, 유년기를 서울에서 보냈다. 집안이 용인, 화성 일대에 많은 농토를 가진지주여서 유족한 환경에서 자랐다. 아호로는 노작露雀, 소아笑啞, 백우白牛 등이 있으나 노작을 많이 사용하였다. 별명으로는 돌부처, 고고문사枯高文士, 대리석, 고양이, 열두박사 등이 있다.
1907년 (8세) 군대 해산으로 생부와 함께 낙향, 한학을 공부하였다.
1908년 (9세) 백부 승유升裕(1881년 사망)의 양자로 들어감. 양모 한산 이씨.
1912년 (13세) 두 살 위인 원효순과 결혼.
1916년 (17세) 휘문의숙에 입학. 서울 의주로에서 하숙.
1918년 (19세) 휘문의숙, 휘문고등보통학교로 개칭. 월탄, 정백 등과 함께 유인물 《피는 꽃》 펴냄.
1919년 (20세)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3·1운동으로 피체되었으나 바로 풀려나와 6월에 낙향. 정백과 함께 고향에 은신하면서 수필 <청산백운>, 시 <푸른 언덕 가으로>씀. 장남 규선奎善 출생.
1920년 (21세) 서울에 올라와 월탄, 정백 등과 함께 서광사에 관여, 동사에서 《문우》 창간.
1921년 (22세) 재종형 사중思仲을 설득하여 문화사를 설립. 문예지 《백조》와 사상지 《흑조》 창간 준비. 장녀 여선女善 출생.
1922년 (23세) 1월에 《백조》 창간호 발행. 5월에 2호 발행. 본격적으로 시창작 활동 시작함.
1923년 (24세) 5월에 극단 ‘토월회’에 참여, 1회 공연자금 조달. 9월 《백조》 3호 발행.
1924년 (25세) ‘토월회’ 3회 공연부터 문예부장직을 맡음. 본격적으로 연극활동 시작, <회색의 꿈> 연출.
1925년 (26세) 9월 이광수의 <개척자><재생><무정> 등을 각색하여 연출.
1927년 (28세) 2월 박진, 이소연 등과 함께 극단 ‘산유화회’ 조직. 차녀 형애馨愛 출생.
1929년 (30세) 박진 댁에서 기거. 각혈, 방랑생활이 시작됨.
1932년 (33세) 둘째 부인 황숙엽과 동거
1934년 (35세) 둘째 부인에게서 3녀 진선軫善 출생.
1935년 (36세) 자하문 밖 세검정 근처에 거주. 한방의학을 공부하여 생계 유지.
1938년 (39세) 부인 원씨와 장남이 서울 마포구 공덕동으로 이사. 둘째 부인에게서 4녀 앙선昻善 출생.
1939년 (40세) 희곡 <김옥균전>이 총독부 검열에 걸려 주거제한을 받음. 차남 문선文善 출생.
1940년 (41세) 강경, 전주 등지에서 교편을 잡음. 사찰순례 및 불경 연구.
1941년 (42세) 생모 사망.
1942년 (43세) 양모 사망.
1943년 (44세) 생부 홍철유 사망.
1945년 (46세) 광복과 함께 근국청년단 운동 계획, 뜻을 이루지 못 함.
1947년 (48세) 1월 17일 폐환으로 마포구 공덕동 장남 댁에서 사망.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