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3 0 0 1 7 0 3년전 0

어머니(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만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 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 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2004년 4월
범우비평판 한국문학 편집위원회
1902년
음력 3월 30일 경성부(서울) 청엽정靑葉町 1정목丁目 56번지(청파동)에서 아버지 나성연羅聖淵과 어머니 김성녀金姓女 의 7남매 중 장남으로 출생. 본명은 경손慶孫, 호는 도향稻香(초기에 은하隱荷), 필명은 빈彬. 한의사로 자수성가한 조부 나병규가 집안의 중심이었음은 그의 아명이 ‘기쁜 손자’ 곧 ‘경손’이었다는 사실로도 잘 드러난다. 아버지 역시 ‘의사’였다 하나 일보다는 책읽기를 즐기며 집안일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1909년
공옥攻玉보통학교 입학.

1914년
배재학당 입학. 회월 박영희에 따르면 이 시기에 나도향은 만점을 받은 작문시험지를 자랑스러워하며 습작에 몰두하였다고 한다.

1918년
배재학당 졸업, 경성의전 입학. 경성의전에 입학한 것은 가업인 의학을 잇기 위해서였지만 나도향은 문학을 향한 꿈을 저버리지 않았다.

1919년
문학 공부를 하기 위해 장롱에 숨겨둔 할아버지의 돈을 훔쳐 일본으로 밀항하지만 집에서 생활비를 보내지 않자 빈궁을 견디다 못해 귀국.

1920년
경북 안동에서 보통학교 교사로 근무. 이곳에서의 생활과 일본인 여교사와의 연애 경험이 최초의 중편 <청춘>을 탄생시키다.

1921년
박영희, 최승일 등과 함께 ‘경성청년구락부’의 기관지 《신청년》의 편집에 관여하다. 이 잡지에 다수의 습작품을 발표한다. 또한 당시 ‘송은松隱’이라는 필명을 썼던 회월 박영희에 의해 최초로 그 감상적인 태도가 지적 받기도 하였다. 박영희와의 관계는 《백조》의 창간동인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발전한다.

1922년
나도향을 세상에 알린 작품, 장편 《환희》가 11월 21일부터 이듬해 3월 21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다. 《백조》의 사무실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집필에 몰두.

1923년
조부 나병규는 ‘철원 애국단’사건에 연루되는 등 독립운동에 일정한 자금지원을 해주던 인물이었는데, 이 무렵부터 급격하게 가세가 기울기 시작함. ‘조선도서’에 근무.

1924년
《시대일보》에 근무. 이 해 7월 31일 조부 사망. 《백조》가 중단되면서 친구네 집과 여관방 등을 전전하며 건강을 크게 해침.

1925년
《시대일보》에 두 번째 장편 《어머니》를 1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 연재. 이후 〈벙어리 삼룡이〉(7월), 〈물레방아〉(9월), 〈뽕〉(12월) 등의 대표작을 잇따라 발표. 연말경 문학수업을 위해 재차 도일하나 ‘공기만을 먹고사는’(이태준의 표현) 무모한 생활을 지속하며 폐병과 짝사랑에 시달림.

1926년
‘거지같은 몰골’로 6월 초 귀국. 〈화염에 싸인 원한〉을 연재하던 중 8월 26일 오후 1시경 사망. 이태원 공동묘지에 묻고 최서해를 비롯한 친구들이 모금하여 비碑를 세웠으나 몇 년 후 주택단지 개발계획에 밀려 사라지고 유골은 화장됨.

1939년
마지막 장편이었던 《어머니》가 박문서관에서 단행본으로 간행됨. 그러나 그의 인생만큼이나 이 작품의 운명도 기구하여서 오랫동안 문학사에서 잊혀져 있었음.

1940년
미완성 유고인 ‘미정고 장편’이 《문장》 21호에 발표됨.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