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0 2 39 0 3년전 0

광야(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겙姸쫨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만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 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 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2004년 4월
범우비평판 한국문학 편집위원회 임헌영·오창은
1904년
(1세) 4월 4일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陶山面 원촌리原寸里에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13대손인 이가호李家鎬와 의병장 범산凡山 허형許?의 딸인 허길許吉 사이에서 원기源祺, 활活, 원일源一, 원조源朝, 원창源昌 등 5형제 중 둘째로 태어나다. 첫 이름은 원록源祿, 둘째 이름은 원삼源三이며, 스스로 활活이란 이름을 지어 부르다. 자字는 태경台卿, 호는 육사陸史이다.

1908년
(5세) 조부 치헌공痴軒公에게 다섯 형제와 함께 한학을 배우다.

1915년
(12세) 조부가 숙장이었던 예안禮安 보문의숙寶文義塾에 맏형을 따라 다니면서 새로운 학문과 견문을 넓히다.

1916년
(13세) 조부가 별세하고 가세가 기울기 시작하다.

1919년
(16세) 안동군 녹전면祿轉面 신평동新坪洞 속칭 ‘듬벌이’로 이사하다. 예안 만세 사건을 겪다.

1920년
(17세) 원기·원일과 함께 대구로 나오다.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에게서 그림 공부를 하다.

1921년
(18세) 영천 안용락安庸洛의 딸 안일양安一陽과 결혼하다.

1922년
(19세) 영천 화북면華北面 백학학교(전 백학서원白鶴書院)에서 이명선·서만달·백기만과 함께 약 6개월간 공부하다. 대구 교남학교嶠南學校로 옮겨 잠시 다닌 듯하다.

1923년
(20세) 대구 남산동 662번지로 이사하다. 이 해 봄 일본으로 건너가 약 1년여를 있다가 나오다. 이 당시 대학 학적(일본대학)을 지녔던 것으로 추측된다.

1925년
(22세) 국민당 정의부國民黨正義府, 대한독립당 군정서大韓獨立黨軍政署, 의열단義烈團 등의 독립 운동과 관련을 맺고 있었던 이정기李定基와 함께 비밀 결사를 만들다. 맏형 원기, 아우 원일과 함께 독립 운동 자금 모집책으로 활동하다.

1926년
(23세) 대구 조양회관朝陽會館(현재 원화여자중학교)에 나가 신문화 강좌에 참가하다. 이 해 이정기와 북경에 가다.

1927년
(24세) 북경서 귀국하다. 이해 가을 장진홍張鎭弘 의사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탄 투척 사건 피의자로 원기·원일·조와 함께 검거되다. 원조는 재학생이어서 나오고 3형제가 2년 7개월의 옥고를 치르다. 이때 변호인으로서는 이우익ㆍ강희준과 밀양 사람 박 모씨였다고 한다.

1929년
(26세) 장진홍 의사의 검거로 3형제가 석방되다. 《조선일보》 대구 지사를 경영하며 기자로 활동하다. 이해 가을에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자 또다시 예비 검속되었다가 풀려 나오다. 아들 동윤東胤 출생하다.

1930년
(27세) 1월 3일 창작시 〈말〉을, 이활이라는 필명으로 《조선일보》에 발표하다. 11월 대구의 격문 사건激文事件에 연계되어 원일과 함께 대구 경찰서에 피검되어 원일은 2개월여에 병보석으로 나오고 육사는 6개월 만에 석방되다.

1931년
(28세) 외숙 허규許珪의 독립군 자금 모금에 관계되어 만주에 갔다가 군관학교 학생 모집을 위해 귀국하다. 영천 출신 김모씨 등 3인(원조도 포함)을 데리고 북경으로 가다가 만주사변이 발생하여 약 3개월 만에 돌아오다. 이후 육사는 봉천奉天 김두봉金枓奉에게 가 지내다.

1932년
(29세) 6월초 만국빈의사萬國殯儀社에서 노신魯迅을 만나다. 북경에 가 있다가 10월 22일 조선군관학교(교장 김원봉金元鳳) 국민정부위원회 간부 훈련반에 입교하다.

1933년
(30세) 4월 22일 조선군관학교를 제1기생으로 졸업하고 상해ㆍ신의주를 거쳐 귀국하다. 이활이라는 필명으로 〈무화과無花果〉라는 소설을 《조선일보》 현상 소설 모집에 응모했으나 예선만 통과한 채 낙선하다. 《신조선新朝鮮》지에 처녀작 시 〈황혼〉을 발표함으로써 시작 활동을 비롯하다.

1934년
(31세) 5월 25일 서울에서 일본 헌병에 의하여 피검되어 모진 고문을 받다. 이 사건은 군관학교 출신자 일제 검거였다. 약 7개월 이상 검속되다. 맏형 원기와 부인 안씨도 연행되어 고초를 겪다.

1935년
(32세) 봄에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선생 댁에서 신석초申石艸를 만나 친교를 맺다. 위당 선생의 다산茶山 문집 간행 관계로 신조선사新朝鮮社와 인연을 맺은 이후로 신석초와 함께 편집 일을 주관하다. 이후 《자오선》,《시학》 등의 동인·편집인들과 사귀어 문단 활동을 벌이다. 《개벽開闢》 1월호에 〈위기에 임臨한 중국정국의 전망〉을, 동지 3월호에 〈중국청방비사靑幇秘史 소고〉 등을 발표, 정치·사회 활동에 깊은 관심을 보이다. 〈춘수3제春愁三題〉 〈실제失題〉 등의 시작품을 발표하다. 이즈음에는 북경대학에 적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

1936년
(33세) 만주 목단강 쪽에 있다가 귀국하다. 귀국하자마자 피검되어, 서울 형무소에 구류되었다가 나오다. 그해 가을에 서거한 중국 작가 노신魯迅을 애도하는 〈노신魯迅 추도문〉(《조선일보》 10월)과 노신의 작품 〈고향〉을 번역(《조광》 12월호) 소개하다. 《풍림風林》지 제1집(12월호)에 시 〈한개의별을노래하자〉를 발표하다. 11월 18일(음력 10월 5일) 모부인의 회갑연을 대구 상서정上西町에서 가지다.

1937년
(34세) 〈해조사海潮詞〉(《풍림》 3월호), 〈노정기路程記〉(《자오선》 제1집) 등의 시와 〈질투의 반군성叛軍城〉 〈무희의 봄을 찾아서〉 등의 산문을 발표하다. 서울 명륜동에서 살림을 하다. 이 때 모부인을 모시고 숙제 원일도 동거하다.

1938년
(35세) 무인(음력) 11월 23일 부친 아은亞隱공의 회갑연을 간소하게 가지다. 신석초申石艸겷翎椅鉅?이명룡李明龍과 함께 경주로 여행하고 나중에 육사는 삼불암三佛庵에서 요양하다. 〈강건너 간 노래〉(《비판》 7월호), 〈소공원〉(《비판》 9월호), 〈아편〉(《비판》 11월호) 등의 시 작품과 〈모멸의 서〉(《비판》 10월호), 〈조선 문화는 세계 문화의 일륜〉(《비판》 11월호), 〈계절의 5행〉(《조선일보》 12월), 〈초상화〉(《중앙시보》 3월) 등의 일반 평문과 수필을 발표하다.

1939년
(36세) 가을에 서울 종암동 62번지로 이사하다. 육사는 그 전부터 명륜동에서 혹은 미아리에서 살림을 하다. 이 해에 〈남한산성南漢山城〉 〈청포도靑葡萄〉 등의 시 작품과 〈영화에 대한 문화적 촉망〉 〈시나리오 문학의 특징> 등의 영화 예술 관계의 평론을 발표하다.

1940년
(37세) 이 때 국내에서 문예지 및 언론 기관에서 일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발표된 시 작품으로는 〈절정絶頂〉(《문장》 1월호),〈반묘斑猫〉(《인문평론》 3월호), 〈일식日蝕〉(《문장》 5월호), 〈교목喬木〉(《인문평론》) 등이며, 〈청란몽靑蘭夢〉〈나의 대용품代用品 현주玄酒·냉광冷光 등의 수필을 발표하다.

1941년
(38세) 음력 4월 26일 부친 아은공께서 별세하다. 9월에 폐질환으로 성모 병원에 입원하다. 딸 옥비沃非 출생하다. 《인문평론》《문장》 등의 잡지에 〈파초〉 〈독백〉 〈아미娥嵋〉 〈자야곡子夜曲〉 〈서울〉 등의 시 작품을 발표하는 한편, 수필 〈연인기戀印記〉 〈산사기山寺記〉와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및 중국 호적胡適의 〈중국문학 50년사〉를 초역하여 소개하다.

1942년
(39세) 2월에 퇴원하여 요양차 경주 안강安康 기계리杞溪里의 이영우李英雨씨 댁에서 쉬다. 모친과 맏형 원기 별세하다. 연첩한 상고喪故에 몸이 쇠퇴하여 잠시 이태성李泰成의 집에서 요양하다. 《조광》지 1월호에 수필 〈계절의 표정〉 발표를 끝으로 육사의 문필 활동은 보이지 않고 있다. 육사의 유고로 남은 〈광야曠野〉 〈편복蝙蝠〉은 이 무렵(1942~1943년)에 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43년
(40세) 각 집이 분산되어 큰집은 빈소를 모시고 고향 원촌으로 환고하고 육사와 원일은 명륜동明倫洞에, 원조는 혜화동惠化洞에, 원창은 인천 송현동松峴洞에 각거하게 되었다. 육사는 또 북경으로 들어갔다가 모친과 백형의 소상에 참석키 위하여 음력 4월에 귀국하여 안동 원촌까지 왔으며 7월에는 안동 풍산에서 1박하고 서울로 오다. 서울에서 동대문 경찰서 형사대와 헌병대에 의해 피검되어 북경으로 압송되다.

1944년
(41세) 양력 1월 16일 새벽 5시에 북경 감옥에서 별세하다. 육사의 부음을 듣고 서울 집안에선 호상소를 성북정城北町 122의 11번지에 차리고 육사의 별세를 애도하다. 작품 〈꽃〉이 유시로 추정된다.

1946년
아우 원조에 의해 교열된 최초의 《육사시집陸史詩集》이 서울출판사에서 발간되다. 원창의 3남 동박東博이 양자로 입적되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