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5 0 0 3 4 0 2년전 0

진달래꽃(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1902년
(1세) 9월 7일(음력 8월 6일), 부친 김성도金性燾와 모친 장경숙張景淑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향은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 남단리(일명 남산동) 569번지이나, 실제 태어난 곳은 외가인 평안북도 구성군 구성면 왕인동이다. 본명은 김정식金廷湜, 소월素月은 필명이다. 처음에는 이름을 정식珽湜이라고 지었으나, 후에 정식廷湜으로 고쳤다. 아명兒名으로는 ‘갓놈’(큰 아이, 상속자)이라 불렸다.

1900년
(8세)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 남단동에 소재한 남산南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15년
(14세)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5월 오산五山학교에 입학하였다. 당시 조만식曺晩植이 오산학교의 교장이었으며, 은사 가운데 김억金億이 있었다. 이때 한시·민요·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며 시작詩作 수업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916년
(15세) 홍실단洪實丹(일명 단실丹實) 여사와 결혼하였고, 이후 2남 4녀를 낳았다.

1920년
(19세) 3월 《창조》에 〈낭인浪人의 봄〉을 비롯한 5편의 시를 발표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7월에는 《학생계》에 시작품 〈먼 후일後日〉 〈거친 풀 흐트러진 모래동으로〉 〈죽으면?〉을, 이어 10월에는 산문 〈춘조春朝〉를 발표하였다.

1921년
(20세) 오산학교 중학부를 졸업하였다.

1922년
(21세) 4월 배재培材고등보통학교 5학년에 편입하였다. 김억의 주선으로 《개벽》에 〈금金잔디〉 〈황촉黃燭불〉 〈꿈〉 등 많은 시작품과 함께 소설 〈함박눈〉을 발표하였다.

1923년
(22세) 3월 배재고보를 제7회 졸업생으로 졸업하고, 4월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상대 예과에 입학했다. 그러나 9월에 일어난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10월경 귀국하였고, 이후 학업을 계속하지 못하였다. 이 무렵부터 나도향 등과 어울리며 서울 생활을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1924년
(23세) 김동인, 주요한, 김억, 전영택 등과 함께 《영대》의 동인으로 참가하여, 〈밭고랑 위에서〉 〈생生과 사死〉 〈나무리벌 노래〉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1925년
(24세) 5월 유일한 시론인 〈시혼詩魂〉을 《개벽》에 발표하였고, 12월에는 그가 생전에 발간한 유일한 시집인 《진달래꽃》을 매문사에서 상재하였다.

1926년
(25세) 처가가 있는 평안북도 구성군 남시로 낙향하여, 8월부터 동아일보 구성지국을 경영하기 시작하였다. 이 지국 경영은 이듬해 3월까지 계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8년
(27세) 작품 창작과 발표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부터 실의에 빠진 듯 불면증에 시달리고 과음하는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1934년
(33세) 몇 년간 작품 발표가 뜸하다가, 이 해에 〈생生과 돈과 사死〉 〈제이, 엠, 에스〉 등 여러 편의 작품을 《삼천리》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12월 24일 오전 8시, 평안북도 구성군 남시 자택에서 돌연 작고하였다. 묘소는 구성군 서산면 평지동 터진 고개에 있다. 사망일시를 23일로 보는 견해도 있으며 사인은 음독자살로 추정하기도 하나, 확실치는 않다.

1935년
1월 서울 종로에 있는 백합원에서 김기림·김동인·김동환·김억·박종화·박팔양·이광수·정지용 등 문인 백여 명이 소월을 추모하는 모임을 가졌다. 김억은 《조선중앙일보》(1. 22~26)에 〈요절한 박행의 시인 김소월의 추억〉을 쓰고, 《신동아》(2월)에 추모시를 발표하였다.

1939년
《여성》 《조광》 《박문》에 〈박넝쿨타령打令〉 〈늦은 가을비〉 〈기억記憶〉 등의 유고시들이 발굴 발표되었고, 12월에 김억이 편한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박문서관에서 간행되었다.

1948년
김억이 산호장에서 《소월민요선素月民謠選》을 간행하였고, 이후 여러 출판사에서 많은 종류의 김소월 시집을 펴내기 시작하였다.

1956년
《소월시집》이 정음사에서 간행되었다.

1966년
백순재·하동호에 의해 양서각에서 《못잊을 그사람》이 간행되었다. 200여 편의 시를 원본과 대조하여 펴낸 이 시집은 이후 소월시 텍스트 연구와 전집 발간에 초석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1977년
《문학사상》(11월호)이 소월의 육필유고를 다량 발굴하여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집》을 게재하였다. 여기에는 20여 편의 창작시와 10편의 일문시, 영문시, 번역시가 포함되어 있다. 1982년 김종욱에 의해 홍성사에서 《원본 소월전집(상·하)》이 간행되었다. 이 책에는 원본 대조 작업을 거쳐 그때까지 알려진 소월의 전 작품이 수록되었고, 소월의 육필원고가 영인되어 실렸다.

1986년
문학사상사에서 소월을 기려 소월문학상을 제정하였다. 윤주은이 교문사에서 소월 시전집 《밧고랑우헤서》를 간행하였다.

1993년
전정구가 《소월 김정식 전집1·2·3》을 한국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1995년
오하근이 《원본 김소월전집》을 집문당에서 펴냈다.

1996년
김용직이 서울대출판부에서 《김소월전집》을 간행하였다.

2002년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각종 기념행사와 학술대회가 열렸고, 《현대문학》(8월호), 《시와 시학》(가을호) 등의 문예지에서 기획 특집을 마련하여 소월의 시세계를 재조명하였다.

2004년
《문학사상》(5월호)이 소월의 초기시 3편(〈서울의 거리〉 〈마주석磨住石〉 〈궁인창宮人唱〉)을 새로이 발굴 게재하였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