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2 0 0 2 4 0 2년전 0

병자삼인(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조일재(趙一齋)

1884년
서울 출생. 본명은 중환重桓.

1900년대 초반
일본기독교도 교육회가 설립한 경성학당에서 수학함.

1906년
니혼(日本)대학 졸업.

1900년대 후반
대한매일신보사 입사.

1910년
《대한매일신보》가 《매일신보》로 바뀐 후에도 계속해서 기자로 근무함.

1912년
3월 윤백남과 함께 극단 문수성文秀星을 조직, 창립공연으로 〈불여귀不如歸〉(원작:德富蘆花, 《불여귀不如歸》)를 올리고, 8월 동명의 소설을 도쿄 경성사서점警醒社書店에서 출간함. 7월부터 《쌍옥루》(원작:菊池幽芳, 《己か罪》)를 《매일신보》에 연재함(1912. 7.17~1913. 2.3). 11월부터 한국 최초의 희곡 〈병자삼인病者三人〉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2. 11.17~12.25).

1913년
5월부터 《장한몽長恨夢》(원작:尾崎紅葉, 《金色夜叉》)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3. 5.13~1913. 10.1). 10월부터 《국菊의 향香》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3. 10.2~1913. 12.28).

1914년
1월부터 《단장록斷腸錄》(원작:柳川春葉, 《生さぬ仲》)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4. 1.1~1914. 6.9). 7월부터 《비봉담飛鳳潭》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4. 7.21~1914. 10.28).

1915년
《매일신보》 경파주임으로 재임. 5월부터 《속 장한몽》을 《매일신보》에 연재함(1915. 5.20~12.26).

1918년
매일신보사 퇴사.

1922년
윤백남의 주도로 조직된 민중극단의 작가로 참여.

1925년
사재를 들여 윤백남과 함께 영화프로덕션인 계림영화협회를 설립하고, 〈장한몽〉〈산채왕〉〈월남 이상재 장례식 실사〉〈먼동이 틀 때〉 등을 제작함.

1941년
경성방송국 제2방송부 재직.

1947년
5월 《독립신문》 주필로 취임함. 10월 9일 64세를 일기로 사망.


이광수(李光洙)

1892년
2월 28일 평북 정주定州 출생. 호는 춘원春園.

1905년
8월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도일하여 도카이의숙東海義塾에서 수학함.

1907년
9월 메이지(明治)학원에 편입함.

1910년
3월 메이지학원 졸업. 오산학교五山學校에 교사로 부임함.

1915년
9월 와세다(早稻田)대학 고등예과 입학.

1916년
9월 와세다대학 철학과 입학.

1917년
1월 〈규한閨恨〉을 《학지광》에 발표함.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無情》을 《매일신보》에 연재함.

1919년
도쿄 유학생의 2·8독립선언서를 기초하고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에 참가, 독립신문사 사장 겸 편집국장에 취임함.

1923년
4월 번역 희곡 〈인조인人造人〉(카렐 차펙크 작)을 《동명》에 발표함. 5월부터 12월까지 《동아일보》 기자촉탁으로 활동함. 9월 번역 희곡집 《어둠의 힘》(톨스토이 작)을 중앙서림에서 출간함.

1926년
1월 번역 희곡 〈줄리어스 씨저〉(세익스피어 작)를《동아일보》에 발표함. 11월부터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임함(~1927.9).

1927년
9월부터 《동아일보》 편집고문으로 재임함(~1929.12).

1930년
10월부터 《동아일보》 취체역으로 재임함(~1933.8).

1933년
8월부터 《조선일보》 편집장으로 재임함(~1934.5).

1937년
6월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됨.

1939년
12월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취임함.

1940년
3월 가야마 미쓰로(香山光郞)라고 창씨개명을 함.

1950년
10월 25일 납북되어 가던 중 폐결핵의 악화로 59세를 일기로 사망.


윤백남(尹白南)

1888년
11월 7일 충남 논산 출생. 본명은 교중敎重.

1900년
일본기독교도 교육회가 설립한 경성학당 중학부 입학.

1903년
경성학당 중학부 졸업. 반조우(盤城) 중학 3학년으로 편입함.

1904년
와세다실업학교 본과 3학년에 편입함.

1906년
와세다대학 정치과 입학. 이때 황실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었으나 일본통감부의 정책에 따라 도쿄고등상업학교로 전학함.

1910년
도쿄고등상업학교 졸업. 귀국하여 관립 한성수형조합의 이사대리로 재직함.

1912년
3월 조일재와 함께 극단 문수성을 조직, 창립공연으로 원각사에서 〈불여귀〉를 올림. 매일신보사에 입사하여 1년 후에 퇴사함.

1916년
3월 이기세 등과 함께 극단 예성좌藝星座를 조직하여 창립공연으로 〈코르시카의 형제〉를 공연함.

1918년
매일신보사에 재입사하여 경제과장으로 2년 재직. 12월 25일 《태서문예신보》에 〈국경〉을 발표함.

1920년
10월 《시사신문》의 편집국장으로 이직하나, 12월 매일신보사에 재입사함.

1921년
이기세·민대식·박승빈과 함께 예술협회를 조직하고, 창립공연으로 〈운명〉 등을 공연함.

1922년
안광익·안종화 등과 함께 민중극단을 조직하고, 창립공연으로 〈등대직〉 등을 공연함.

1923년
한국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서盟誓〉의 각본을 쓰고 감독함.

1924년
희곡집 《운명》을 신명서림에서 출간함.

1925년
1월 순수 조선인의 영화사로서는 최초인 윤백남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심청전〉을 제작·상연함. 그러나 〈개척자〉를 제작하던 중 해체됨. 이후 조일재가 출자하여 설립된 계림영화협회에 참여함.

1928년
11월에 발족된 조선문예영화협회의 동인으로 참여함. 이 협회는 연극과 영화를 지망하는 신인들을 선발하여 교육하던 곳으로 이기세, 안종화, 김을한, 염상섭, 이우, 양백화 등이 동인으로 참여함.

1930년
역사소설 《대도전》을 《동아일보》에 연재함(전편:1930. 1.6~3.24, 후편:1931. 1.1~7.31). 10월 희곡집 《운명》을 창문당서점에서 재출간함.

1931년
7월 극예술연구회 창립 멤버로 참여함.

1932년
7월 경성방송국에 입사하고 1933년에는 초대 제2방송과장에 취임함.

1933년
9월부터 1936년 11월까지 《동아일보》 편집국 촉탁으로 활동함.

1934년
10월 《월간 야담》을 창간함.

1937년
5월 만주 화북으로 건너가 재만 조선농민문화향상협회 상무이사로 재직함.

1945년
8월 조선영화건설본부 위원장.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초대학장.

1954년
대한민국예술원 초대회원으로 선임됨. 9월 29일 심장병 발병으로 67세를 일기로 사망.


최승만(崔承萬)

1897년
11월 6일 경기도 시흥 출생. 호는 극웅極熊.

1915년
3월 보성중학교 졸업.

1916년
3월 경성 중앙 YMCA 영어과 졸업. 10월에 도일함.

1917년
3월 일본 도쿄 관립외국어학교 로서아과 입학.

1918년
《학지광》 편집위원으로 활동함.

1919년
2월 《창조》 동인으로 참여하여 창간호에 〈황혼〉을 발표함. 2·8운동 참가로 중퇴함.

1922년
5월 재일본 도쿄 조선YMCA 월간잡지 《현대》 주간.

1923년
3월 일본 도쿄 동양대학 인도윤리철학과 졸업.

1929년
6월 재일본 도쿄 조선YMCA 총무를 사임하고, 미국 메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대학으로 편입함.

1930년
6월 스프링필드 대학 졸업. 조선YMCA연합회 기관지 《청년》 주간.

1931년
1월 재일본 도쿄 조선YMCA 총무.

1934년
8월 동아일보사 잡지부장, 《신동아》 주간.

1936년
9월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동아일보사 퇴직.

1937년
해방 때까지 만주국 봉천 삼창교피창三昌膠皮廠, 경성중앙상공주식회사, 경성방직주식회사에 재직함.

1945년
미군정청 문교부 교화국장으로 재임함(~1948.5).

1948년
9월 연희대학교 교수.

1953년
5월 제주대학 초대 학장.

1954년
2월 재단법인 이화학당 이사장에 취임. 10월 이화여대 교수 겸 부총장으로 재임함(~1956.1).

1956년
인하공과대학장으로 재임함(~1961.7). 이후 10여 년 동안도 여러 교육기관이나 YMCA에서 임원으로 활동.

1970년
문집 《극웅필경極熊筆耕》 발간.

1983년
문집 《바르고 옳게 살자》 발간.

1984년
12월 25일 88세를 일기로 사망.


유지영(柳志永)

1897년
출생. 호는 팔극八克.

1913년
선린중학을 졸업하고 도일, 와세다대학에 다니다가 음악전문학교로 전학하여 바이올린을 전공함.

1918년
매일신보사 첫 공채시험에 홍난파와 함께 합격하여 기자로 입사함.

1919년
도쿄 조선유학생악우회의 기관지 《삼광》에 희곡 〈이상적 결혼〉을 발표(1919.2·12, 1920.4). 희곡 〈연과 죄〉를 《매일신보》에 발표(1919.9.22~26).

1920년
7월 조선체육회 창립시 발기인으로 참여함.

1924년
2월 《어린이》에 〈고드름〉을 발표, 이후 윤극영이 곡을 붙여 널리 알려짐. 3월《시대일보》 창간 당시 사회부 기자로 입사. 조선소년운동협회(1923.4.17.조직)의 상무위원으로 참여함.

1925년
5월 동아일보사 입사.

1927년
7월 영화연구와 영화합평을 목적으로 하는 ‘영화인회’의 창립동인으로 참여함. 10월 동아일보사 퇴사.

1932년
10월 희곡 〈인간모욕〉을 《동광》에 발표.

1947년
51세를 일기로 사망.


김영보(金泳俌)

1900년
1월 28일 경기도 개성 출생. 호는 소암蘇巖.

1912년
3월 경기도 개성 한영서원韓英書院(1906년에 설립된 남감리교계 학교. 후에 송도고등보통학교가 됨) 초등과 졸업.

1915년
3월 한영서원 중등과 졸업.

1918년
3월 한영서원 고등과 졸업.

1921년
예술협회가 10월에는 〈정치삼매〉를, 12월에는 〈시인의 가정〉을 단성사에서 공연함.

1922년
11월 창작희곡집 《황야에서》를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출간함.

1924년
7월 경성 수송유치원 원감.

1925년
6월 일본 도쿄 불교조선협회 주간.

1940년
10월 매일신보사 지방부장.

1941년
7월 매일신보사 오오사까 지사장.

1945년
3월 매일신보사 경북지사장.

1945년
11월부터 《영남일보》 사장으로 재임함(~1955.7).

1962년
63세를 일기로 사망.


현철(玄哲)

1891년
부산 출생. 본명은 희운僖運, 필명은 해암海巖·효종曉鍾.

1911년
보성중학을 졸업하고, 도일하여 세이소쿠(正則) 영어학교를 거쳐 메이지 대학 법과에서 수학함.

1913년
시마무라 호게쓰(島村抱月)의 예술좌에 입단하여 부속연극학교에서 수학하며 연극활동.

1917년
상하이로 건너가 성기星綺연극학교에서 활동함.

1920년
연예강습소 설립. 개벽사의 학예부장으로 근무함. 번역희곡 〈격야隔夜〉 (투르게네프 작)를 《개벽》에 발표함(1920. 6~1921. 3). 1920년대 초반부터 경성미용원을 경영한 것으로 추정됨.

1921년
번역희곡 〈하믈레트〉(세익스피어 작)를 《개벽》에 발표함(1921. 5~1922. 12).

1922년
체홉의 〈곰〉을 본뜬 〈견犬〉을 《개벽》에 발표함(1922.1~2). 6월 개벽사에서 발행한 《부인》의 편집주임.

1923년
4월 번역희곡집 《하믈레트》를 박문서관에서 출간함. 10월 사단법인 동국문화협회 조직.

1924년
11월 영화감독 이구영李龜永과 함께 조선배우학교를 설립함.

1926년
번역희곡 〈사로메〉(오스카 와일드 작)를 《위생과 화장》에 발표함.

1927년
6월 조선극장 경영에 참여하면서 조선배우학교를 연예협회로 개명하고 조선극장 안에 설치함. 조선물산장려회 영화선전부 주임으로 재직함.

1935년
야담동호회를 조직하고 12월에는 신정언·유추강과 함께 야담대회를 개최함.

1962년
10월 서울시 문화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됨.

1963년
3월 ‘연예인30년 특별공로표창장’을 수상함.

1965년
3월 19일 경기도 양주에서 75세를 일기로 사망.


김유방(金惟邦)

1893년
3월 20일 평양 출생. 본명은 찬영瓚泳, 호는 유방惟邦 또는 포경抱耿.

1907년
평양 사숭학교四崇學校 졸업.

1908년
도일하여 메이지 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함. 이후 메이지 대학 법과로 진학했으나 중도에 퇴학함.

1912년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 선과생으로 입학함.

1917년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귀국. 졸업시에 그린 〈자화상〉이 유일하게 전함.

1920년
7월 《폐허》 창립 동인으로 참여함.

1921년
《창조》 8호부터 동인으로 참여하면서 표지화 〈평화〉(8호)와 〈앞으로 나아가는 사람〉(9호)을 그림.

1923년
4월 희곡 〈배교자〉를 《개벽》에 발표함.

1924년
8월 《영대》 창립 동인으로 참여하고 표지화를 그림. 9월 희곡 〈삼천오백냥〉을 《영대》에 발표함.

1925년
평양의 서양화가 단체인 삭성회朔星會를 김관호·김윤보·김광식 등과 조직하고, 삭성회화연구소의 서양화 강사로 활동함.

1927년
5월 영화배급사 기신양행紀新洋行 설립. 언론사 연예부 기자들의 모임인 ‘찬영회讚映會’(1927. 12.6.조직)를 후원함.

1931년
7월 주식회사 조선극장(사장 정완규)의 감사역監査役으로 재직함.

1934년
1월 기신양행이 조선극장을 인수한 것을 계기로 약 1년 간 조선극장 경영에 참여함.

1960년
1월 4일 68세를 일기로 사망.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