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0 0 2 3 0 2년전 0

산골 나그네(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1908년
1월 11일. 강원도 춘천군 신남면 증리(현 춘성군 신동면 증리)에서 부 김춘식金春植과 모 청송淸松 심씨沈氏 사이의 2남 6녀 중 일곱째이자 차남으로 태어남.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서울 진골(현 종로구 운니동)이라는 설이 있음. 그의 아명은 멱서리.

1914년
(6세) 어머니 심씨 사망.

1916년
(8세) 아버지 김춘식 사망. 이후 형과 누나들의 손에서 자라게 됨. 보통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글방에서 천자문, 계몽편, 통감 등의 한문 공부를 함.

1919년
(11세)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3년
(15세) 재동공립보통학교 4학년 졸업(제16회). 휘문고등보통학교 입학. 안회남安懷南과 같은 반으로 각별히 친하게 지냄.

1924년
(16세) 눌언교정소訥言矯正所에 다님.

1926년
(18세) 휘문고보 3학년을 마치고 휴학. 형 유근裕近의 주벽과 난봉으로 가세가 기울어져 이 해를 전후하여 관철동, 숭인동, 관훈동, 청진동 등으로 집을 줄이어서 옮김.

1927년
(19세) 휘문고보 4학년에 복학.

1928년
(20세) 형 유근은 가산을 탕진하고 실레로 이사하고 유정은 봉익동 삼촌집에서 얹혀지냄.

1929년
(21세) 휘문고보 5년 졸업(제21회). 삼촌댁에서 사직동 둘째 누나 유형裕瀅의 집으로 거처를 옮김. 이때 누이는 양복공장 직공으로 근무하고 있었는데 이때의 생활은 그의 작품 〈따라지〉에 잘 표현되어 있음. 그리고 이 해에 박녹주朴綠珠(1906~1979)를 우연히 보게 된 뒤 그녀에게 구애의 편지를 쓰기 시작함.

1930년
(22세)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문과에 입학했으나 그 해 6월에 학칙 제26조에 의거 제명처분됨. 구애하던 박녹주에게 거절당하고 춘천 실레로 내려와 방랑생활. 들병이들과 친해지고, 늑막염이 발병하기도 하였는데, 이때 휘문고보 친구였던 안회남의 권고로 소설 습작을 시작함.

1931년
(23세)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에 입학했으나 곧 자퇴함. 실레마을에서 야학당을 열었고 이후 이를 농우회農友會로 개칭.

1932년
(24세) 농우회를 다시 금병의숙錦屛義熟으로 개칭하여 간이학교로 인가받음. 단편 〈심청〉을 탈고(4년 뒤인 1936년 《중앙》에 발표함). 금광 등을 전전함.

1933년
(25세) 서울에 올라와 누이와 함께 기거함. 이때 폐결핵이 발병됨. 이 해 봄에 이석훈李石薰과 채만식蔡萬植을, 가을에 박태원朴泰遠을 처음 만남. 〈산골 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발표.

1934년
(26세) 매형이 사직동 집을 처분하여 혜화동 개천가에 셋방을 얻어 누이는 밥장사, 유정은 창작에 전념함. 〈정분〉 〈만무방〉 〈애기〉 〈노다지〉 〈소나기〉 탈고.

1935년
(27세) 《조선일보》 신춘문예 현상모집에 〈소나기〉 1등 당선. 《조선중앙일보》 신춘문예 현상모집에 〈노다지〉 가작 입선. ‘구인회’에 후기동인으로 가입. 이 해에 단편소설 10편과 수필 3편을 탈고함.

1936년
(28세) 폐결핵과 치루가 악화됨. 서울 정릉 골짜기의 암자, 신당동에서 셋방살이 하는 형수댁 등을 비롯해 여러 곳을 전전하며 투병. 박봉자朴鳳子에게 열렬히 구애하였으나 거절당함. 김문집金文輯이 병고작가 원조운동을 벌여 모금을 해 줌.

1937년
(29세) 신병이 더욱 악화되어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상산곡리 다섯째 누이 유흥裕興의 집으로 거처를 옮김. 소설 4편, 번역소설 2편, 수필 7편 발표. 3. 29. 세상을 떠남. 화장하여 그 재를 한강에 뿌림.

1938년
단편집 〈동백꽃〉 발간(삼문사).

1968년
〈김유정 전집〉 발간(현대문학사). 춘성군 의암호반에 ‘김유정문인비’ 건립. ‘김유정기념사업회’ 발족.

1969년
〈봄 봄〉 영화화(제작 태창흥업, 감독 김수용, 출연 신영균·남정임·허장강 등).

1970년
이후 1984년까지 각 출판사에서 10종의 단편선집을 발간.

1975년
연극 〈봄 봄〉 상연(제작 극단 혼성, 각색 신명순, 연출 최지웅, 10. 5~6. 춘천, 강원도립문화관).

1978년
춘성군 실레마을에 ‘김유정 기적비’ 건립.

1984년
〈땡볕〉 영화화(제작 화천공사, 감독 하명중, 출연 하명중·조용원·주상호 등).

1987년
《원본 김유정 전집》(전신재 편, 한림대 출판부) 발간.

1994년
김유정 동상(춘천문화회관) 건립. 김유정 문학비(춘천조각공원) 건립.

2002년
김유정 생가 복원 및 문학기념관 설립.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