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 0 0 4 6 0 2년전 0

약한 자의 슬픔(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1900년
10월 2일 평안남도 평양 상수리에서 기독교 장로인 전주 김씨 대윤大潤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출생. 모친 옥씨玉氏는 후실로, 전실에게서 장남 동원東元이 있었고 동인東仁, 동평東平, 동선東善은 옥씨 소생임.

1912년(12세)
기독교계 숭덕소학교 졸업.

1913년(13세)
숭실중학교에 입학했다가 중퇴.

1914년(14세)
도일, 동경학원 중학부 입학. 이 때부터 유아독존적 존재로 자처.

1915년(15세)
명치학원 중학부 2년 편입.

1917년(17세)
명치학원 중학부 중퇴. 부친 김대윤 사망, 귀국.

1918년(18세)
4월 김혜인金惠仁과 결혼 후 도일. 동경 가와바타(川端畵) 미술학교 입학.

1919년(19세)
2월 일본 요코하마(橫濱)시 복음인쇄소에서 인쇄한 동인지 《창조創造》(발행인:주요한) 창간호에 소설 〈약한 자의 슬픔〉을 발표. 가와바타 학교 중퇴, 유학생독립운동사건으로 3월 귀국. 3₩1운동 관련 출판법 위반으로 3개월의 고초 후 6월 집행유예 2년의 형을 받고 나옴.

1920년(20세)
중편 〈마음이 옅은 자여〉(《창조》2〜6호) 발표. 장남 일환日煥 출생.

1921년(21세)
단편 〈목숨〉(《창조》8호), 〈배따라기〉(《창조》9호), 〈연산군〉〈전제자專制者〉(《개벽》3월호), 〈딸이 업을 이으리〉 등 발표. 《창조》는 9호로 폐간. 봄부터 명월관 기생 김옥엽 등과 관계를 맺으며 방탕한 생활을 함.

1922년(22세)
유치장 체험을 소재로 한 단편 〈태형笞刑〉(《동명》16〜17호) 발표.

1923년(23세)
창작집 《목숨》(창조사, 평양) 간행. 단편 〈이 잔을〉(《개벽》1월호), 〈눈을 겨우 뜰 때〉(《개벽》7〜11월호) 등 발표. 딸 옥환玉煥 출생.

1924년(24세)
8월 《창조》의 후신 《영대靈臺》를 주재 발간하고 창간호에 〈유서遺書〉를 발표. 평론 〈소설작법〉(《조선문단》) 발표.

1925년(25세)
1월 《영대》가 5호로 폐간. 단편 〈정희〉(《조선문단》5월호), 〈명문〉 〈시골 황서방〉〈감자〉(《조선문단》1월호), 〈눈보라〉 등 발표.

1926년(26세)
단편 〈원보 부처〉(《신민》3월호) 발표. 보통강普通江 벌 수리사업에 착수하였으나 당국의 불허가로 실패. 이 때의 차용금으로 전 재산을 방매, 파산. 이 무렵 여동생 동선 소유의 평양 하수구리 집으로 이사. 서울 중학동에서 6개월간 하숙생활.

1927년(27세)
부인 김혜인 가출.

1928년(28세)
영화 흥행에 손을 대어 정주, 해주, 선천, 진남포 등지에서 흥행함.

1929년(29세)
단편 〈여인〉〈송동이〉, 장편 〈젊은 그들〉(《동아일보》 연재), 〈대평행大平行〉(《중외일보》 연재, 폐간으로 중단), 평론 〈근대소설고〉 발표.

1930년(30세)
단편 〈여인〉(《별건곤》3, 7, 8월호) 〈죄와 벌〉〈배회徘徊〉(《대조》3월 창간호, 2, 3호), 〈증거〉(《대조》6호), 〈순정〉〈구두〉〈포플러〉〈신앙으로〉〈광염 소나타〉〈광화사〉〈벗기운 대금업자〉(《신민》12월호) 등 발표. 불면증으로 시달리기 시작함. 4월 평남 용강군 출신이며 평양 숭의여고를 갓나온 20세의 처녀 김경애金瓊愛와 재혼, 장편 《여인》을 삼문사에서 간행.

1931년(31세)
봄에 서울 서대문 행촌동 210의 96호로 이사. 단편 〈거지〉(《삼천리》4월호), 〈잡초〉〈박첨지의 죽음〉, 장편 〈대수양大首陽〉 발표. 딸 유환柔煥 출생.

1932년(32세)
단편 〈발가락이 닮았다〉(《동광》1월호), 〈붉은 산〉(《삼천리》4월호), 〈적막한 저녁〉(《삼천리》10월호) 및 장편 〈아기네〉(《동아일보》 연재) 발표. 조선일보 학예부장 40일간 봉직.

1933년(33세)
장편 〈운현궁의 봄〉, 단편 〈화중난무花中亂舞〉 발표, 모친 사망.

1934년(34세)
평론 〈춘원연구春園硏究〉(《삼천리》) 발표.

1935년(35세)
《월간 야담》지에 사담史譚을 발표한 것을 경험으로 12월에는 《야담野談》지에 발간. 딸 연환姸煥 출생.

1936년(36세)
《이광수·김동인소설집》(조선서관) 간행, 영변에 휴양.

1937년(37세)
6월 《야담》에서 손을 뗌. 〈춘원연구〉(완).

1938년(38세)
단편 〈대탕지大湯地 아주머니〉〈가신 어머님〉〈가두假頭〉 등 발표. 장편 〈제성대帝星臺〉를 《조광朝光》에 연재.

1939년(39세)
중편 〈김연실전金姸實傳〉 발표. 《김동인단편집》을 박문서관에서 간행. 박영희, 임학수와 소위 ‘북지황군위문’에 동의, 만주를 다녀옴.

1941년(41세)
단편 〈곰네〉 발표.

1942년(42세)
4월 천황 불경죄로 3개월간 옥고. 딸 유환 사망.

1943년(43세)
아들 광명光明 출생.

1945년(45세)
서울 성동구 약수동으로 이사.

1946년(46세)
장편 〈을지문덕乙支文德〉을 《태양신문》에 연재. 뇌막염으로 중단.

1947년(47세)
서울 성동구 홍익동 353번지로 이사.

1948년(48세)
아들 천명天明 출생. 동맥경화증으로 병석에 눕게 됨.

1951년(51세)
1월 5일 사망, 가장하였다가 수복 후 화장.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