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0 0 3 3 0 2년전 0

해파리의 노래(외)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
한민족 정신사의 복원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을 펴내며

한국 근현대 문학은 100여 년에 걸쳐 시간의 지층을 두껍게 쌓아왔다. 이 퇴적층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과거화 되면서도, ‘현재’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세기가 바뀌면서 우리는 이제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현재를 보다 냉철하게 평가하며 미래의 전망을 수립해야될 전환기를 맞고 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바로 21세기의 문학적 진로 모색을 위한 텃밭 고르기일뿐 결코 과거로의 문학적 회귀를 위함은 아니다.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근대성의 충격’에 대응했던 ‘민족정신의 힘’을 증언하고 있다. 한민족 반만년의 역사에서 20세기는 광학적인 속도감으로 전통사회가 해체되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문화적 격변과 전통적 가치체계의 변동양상을 20세기 한국 근현대 문학은 고스란히 증언하고 있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민족 정신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망각된 것들을 애써 소환하는 힘겨운 작업을 자청하면서 출발했다. 따라서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그간 서구적 가치의 잣대로 외면 당한 채 매몰된 문인들과 작품들을 광범위하게 다시 복원시켰다. 이를 통해 언어 예술로서 문학이 민족 정신의 응결체이며, ‘정신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민족사의 왜곡상을 성찰할 수 있는 전망대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편집 방향으로 기획되었다.

첫째, 문학의 개념을 민족 정신사의 총체적 반영으로 확대하였다.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근현대 문학은 서구 기교주의와 출판상업주의의 영향으로 그 개념이 점점 왜소화되어 왔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기존의 협의의 문학 개념에 따른 접근법을 과감히 탈피하여 정치·경제·사상까지 포괄함으로써 ‘20세기 문학·사상선집'의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시·소설·희곡·평론뿐 아니라, 수필·사상·기행문·실록 수기, 역사·담론·정치평론·아동문학·시나리오·가요·유행가까지 포함시켰다.
둘째, 소설·시 등 특정 장르 중심으로 편찬해 왔던 기존의 ‘문학전집’ 편찬 관성을 과감히 탈피하여 작가 중심의 편집형태를 취했다. 작가별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작가가 쓴 모든 장르의 글을 게재하며, 한 권 분량의 출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별 시리즈 출판이 가능케 하였다. 특히 자료적 가치를 살려 그간 문학사에서 누락된 작품 및 최신 발굴작 등을 대폭 포함시킬 수 있도록 고려했다. 기획 과정에서 그간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문인들을 다수 포함시켰으며, 지금까지 배제되어 왔던 문인들에 대해서는 전집발간을 계속 추진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세기 모든 문학을 포괄하는 총자료집이 될 수 있도록 기획했다.
셋째, 학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자들을 책임 편집자로 위촉하여 이들 책임편집자가 작가·작품론을집필함으로써 비평판 문학선집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전문 문학연구자의 작가·작품론에는개별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문학연구의 성과가 집약돼 있다. 세심하게 집필된 비평문은 작가의 생애·작품세계·문학사적 의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록으로 검증된 작가연보·작품연구·기존 연구 목록까지 포함하고 있다.
넷째, 한국 문학연구에 혼선을 초래했던 판본 미확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 작품의 경우 현대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작품의 원형이 훼손된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이번 기획은 작품의 원본에 입각한 판본 확정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근현대 문학 정본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신뢰성 있는 선집 출간을 위해 작품 선정 및 판본 확정은 해당 작가에 대한 연구 실적이 풍부한 권위있는 책임편집자가 맡고, 원본 입력 및 교열은 박사 과정급 이상의 전문연구자가 맡아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문의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엄밀한 대조 교열작업에서 맞춤법 이외에는 고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 한국문학 출판으로 일반 독자들과 연구자들은 정확한 판본에 입각한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범우비평판 한국문학’은 근대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대표문학 전집 출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권수의 제한 없이 장기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출간될 것이며, 이러한 출판 취지에 걸맞는 문인들이 새롭게 발굴되면 계속적으로 출판에 반영할 것이다. 작고 문인들의 유족과 문학 연구자들의 도움과 제보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1896년
본관 경주, 음력 10월 30일 평안북도 정주군 관주면 관섭리 1798번지에서 아버지 김기범金基範과 어머니 김준金俊 사이에서 태어났다. 안서는 이곳에서 10대의 중반까지 살다가 오산학교에 진학하면서 거주지를 옮겼다고 전하지만 그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다. 본명은 희권熙權인데 후에 ‘억億’으로 개명, 아호는 안서岸曙.

1904년
동향인 박진사댁으로 불리던 양가집 규수인 16세 박씨와 결혼하다.

1907년
한문을 배우다가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상투를 자르고 오산학교에 입학. 오산학교는 민족운동의 열기에 가득한 곳이었는데 김억은 이때부터 문학을 하기로 결심한 듯하다.

1913년
오산학교 졸업. 집안이 넉넉한 살림이어서 동경 유학을 결심하고 준비를 한 듯 보인다.

1914년
일본 동경에 있는 게이오후대학(慶應大學) 문과에 입학, 2월 《학지광》 창간호에 창작시 발표, 이것이 활자화된 작품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1915년
《학지광》 5월호에 시 〈야반〉〈나의 적은 새야〉〈밤과 나〉 등을 발표. 이때부터 이광수, 주요한, 김여제 등의 동경유학생 문사와 교의를 가졌다.

1916년
부친의 사망으로 게이오후를 중퇴, 고향으로 돌아와 오산학교 교사로 취임. 이때 영변의 숭덕학교에 잠시 머물러 있었다고 하나 자세한 것은 밝혀져 있지 않다. 6세 연하인 김소월과 사제지간의 연을 맺은 것도 이때이다.

1918년
《태서문예신보》 창간과 함께 베를렌느를 비롯한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러시아 문학작품을 본격적으로 번역 소개하는 한편 창작시 발표. 이 무렵부터 문단 활동이 본격화되었다.

1919년
《태서문예신보》에 창작시 발표.

1920년
석주명 등과 함게 서울에서 에스페란토 학회를 발기하고 주재. 황석우, 남궁벽 등과 함께 동인을 결성하여 《폐허》를 창간하고 창작시를 발표했으며 중심 멤버로 활약. 이어 김동인, 주요한이 관계한 《창조》에 참여하여 김소월을 소개했다. 이 인연은 뒤에 창조파가 발간한 《영대靈臺》에 이어졌다.

1921년
3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시집이며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를 간행. 문단 안팎의 주목을 크게 받았다.

1922년
천도교에서 발행한 종합지 《개벽》이 창간되다. 김억은 그의 문예란을 담당하여 활발하게 창작시 발표.

1923년
4월, 타고르 원작 《기탄자리》를 이문관에서 출간. 6월 우리나라 근대시집으로서 최초의 창작시집 《해파리의 노래》와 《오뇌의 무도》 개정판을 조선도서에서 간행.

1924년
가을, 《동아일보》 문예부장이었던 유광열의 후임으로 취임. 8월 타고르의 《신월新月》《원정》을 출판, 또한 아더 시몬즈의 《잃어진 진주》를 문우당에서 내어 문단의 화제를 모았다.

1925년
3월, 시집 《금모래》를 조선문단사에서 발간, 9월 시집 《봄의 노래》를 매문사에서 발간, 새로 창간된 《가면》의 발간에 참여 그것을 주재함. 이때 소월의 작품을 많이 실었으나 지금 이 잡지가 전하지 않아 자세한 작품목록은 알 수 없다.

1927년
3월, 1923년 출간했던 타고르의 《기탄자리》를 개제한 《고통의 속박》을 동양대학당에서 간행.

1929년
차남 상칠尙七 고향인 정주에서 태어나다. 4월 시집 《안서시집》을 한성도서에서 출간.

1930년
《매일신보》의 문예란을 담당, 중앙방송국에 취임. 중앙방송국은 8?5직전까지 근무하여 생활의 근거가 되었다.

1933년
《모범서한문模範書漢文》을 한성도서에서 간행.

1934년
9월, 역시집 《망우초》를 한성도서에서 간행.

1936년
1월, 서울 종로구 계동 54번지에서 상숙尙淑 출생, 부인 박씨 사망.

1937년
5월, 차녀 상주尙珠 출생.

1939년
12월, 김소월 사후 그의 유작을 정리한 《소월시초》를 박문서관에서 출간. 이때 최고 상태의 소월시 몇 편이 김억의 손질로 시집에 수록되었다.

1941년
7월, 시집 《안서시초》가 박문서관에서 간행.

1943년
《동심초同心草》을 조선출판사에서 간행.

1944년
봄, 신인순申仁順과 재혼, 4월 조선여류 한시선집으로 《꽃다발》을 박문도서에서 간행, 8월 《지나명시선支那名詩選》 2권을 한성도서에서 출간, 12월 시집 《야광주夜光珠》를 조선출판사에서 간행.

1946년
중앙방송국 부국장직에서 퇴임, 도서출판 수선사首善社의 편집 주간으로 취임, 여기서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朝鮮新文學思潮史》, 고정옥高晶玉의 《조선민요연구朝鮮民謠硏究》등 양서가 발간되었다. 또한 6?5전쟁 때까지 육군사관학교와 공군사관학교 강사, 한편 서울여상고에도 출강, 8월 3녀 상란尙蘭 출생.

1947년
2월, 시집 《먼동이 틀 제》를 백민문화사에서 출간, 4월 여류 한시를 번역한 역시집 《금잔디》를 동방문화사에서 출간.

1948년
1월, 김소월의 작품집 《소월민요집》을 산호장에서 출간, 2월 시집 《민요시집》을 한성도서에서 출간. 《민요시집》은 김억이 중기 이후부터 쓴 서정민요시들을 모은 것으로 이 시인을 대표하는 창작시집이다.

1949년
3월, 번역시집 《옥잠화玉簪花》를 이우사에서 출간.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서울 종로구 계동 54번지 자택에 있다가 9·28 수복 직전 북쪽 기관원에 의해 연행되었다. 그 후 조국평화통일 위원으로 이름이 나타났다. 지금 현재는 생사불명.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